학계에서 통용되고 있는 ‘국문학개론’의 체제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되, 이름을 ‘한국문학개론’으로 바꾸고 새 얼굴의 필자들이 참여하여 논조와 방향의 참신함을 추구하고자 했다. 고대시가·향가, 속악가사, 경기체가, 악장, 시조, 가사, 민요, 무가, 신화·전설·민담, 국문소설, 한문소설, 판소리, 전통희곡, 속담·수수께끼, 고수필, 한문학으로 크게 나누어 각 분야를 대표하는 연구자들이 공동 참여하여 집필하였다. 세계화 시대에 걸맞는 한국문학개론서로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가능한 한 새롭게 만들어졌다.
권오경: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
김기형: 고려대학교 교수
서철원: 서울대학교 교수
송효섭: 서강대학교 교수
신경숙: 한성대학교 교수
윤덕진: 연세대학교 교수
이종묵: 서울대학교 교수
전경욱: 고려대학교 교수
정출헌: 부산대학교 교수
조규익: 숭실대학교 교수
차충환: 경희대학교 교수
최원오: 광주교육대학교 교수
최재남: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표인주: 전남대학교 교수
한길연: 경북대학교 교수
허남춘: 제주대학교 교수
총론: 조규익
1. 한국문학 지평 전환의 당위성
2. 한국문학이란 무엇인가?
3. 한국문학의 장르
4. 한국문학과 한국문학 교육의 새로운 전망
고대시가·향가: 서철원
1. 개관
2. 고대시가의 일면
3. 고구려와 백제의 속악
4. 향가의 범위와 형식적 특징
5. 향가의 주제와 역사적 전개
6. 마무리
속악가사: 허남춘
1. 개관
2. 고려가요와 장르체계
3. 속악가사의 형성과정
4. 형식과 율격
5. 속악가사의 미의식
6. 작품과 주제
경기체가: 최재남
1. 개관
2. 명칭과 존재 기반 그리고 갈래 논의
3. 형식과 율격
4. 전절과 후절의 대비에서 본 역사적 흐름
악장: 조규익
1. 개관
2. 고려악장과 조선악장의 같고 다른 점
3. 조선조 악장의 새로운 지향과 중세적 보편성
4. 악장의 문학사적 위상
시조: 신경숙
1. 개관
2. 시조의 형식
3. 구비연행 시가의 성격과 노랫말
4. 조선전기 시조의 양상
5. 조선후기 시조의 양상
가사: 윤덕진
1. 가사의 장르-가사 연구사 개관
2. 가사의 연원
3. 가사 발전사 개략
4. 가사체의 본령과 전망
민요: 권오경
1. 개관
2. 개념 · 명칭 · 기원 · 갈래 · 역사적 배경 및 전개
3. 내용 및 형식
무가: 표인주
1. 개관
2. 무가의 특성
3. 무가의 장르별 갈래
신화·전설·민담: 송효섭
1. 개관
2. 장르와 형식
3. 연구방법론
4. 전망
국문소설: 차충환
1. 개관
2. 사적 전개
3. 유형
한문소설: 정출헌
1. 개관
2. 소설의 성행과 시대, 그리고 담당층
3. 동아시아 서사의 지평과 한문소설의 전개
4. 한문소설의 유형과 미적 특질
5. 한문소설로 읽는 동아시아 문명의 미래
판소리와 창극: 김기형
1. 판소리의 개관
2. 판소리의 기원
3. 판소리의 역사적 전개
4. 내용 및 특징
5. 판소리의 미학과 예술사적 의의
--------------------------
1. 창극의 개관
2. 창극의 성립과 전개
3. 내용 및 특징
전통희곡: 전경욱
1. 개관
2. 가면극
3. 인형극
속담과 수수께끼: 최원오
1. 속담의 개관
2. 속담의 명칭과 기원
3. 속담의 생성과 변이
4. 속담의 유형
5. 속담의 내용
-------------------
1. 수수께끼의 개관
2. 수수께끼의 명칭과 기원
3. 수수께끼의 분류와 형식
4. 수수께끼의 문학적 활용과 의의
고수필: 한길연
1. 개관
2. 세부 갈래
3. 전개양상과 주요작품
4. 고수필의 의의
한문학: 이종묵
1. 개관
2. 한국 한시의 이해
3. 한국 한문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