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도서

국문학

한국학 동양고전

역사 지리

철학 윤리

서양고전 외국어

교양자기개발서

글쓰기

한문학 한시

한국학 동양고전

인문학과 사회과학 책들로 양가죽 도서목록 지갑을 살찌워 왔습니다.

뉴스메이커 공자

이권효 지음

가격 18,000원

발행일

ISBN

분야

페이지 346P

크기

공자와 논어의 호감 요소를 뉴스 사례 106가지를 활용해 풀이하면서 공자(논어)가 특별한 뉴스 가치를 갖는데 대해 5가지 호감 요소를 제시하는 책이다.

이권효:

경남 남해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스피노자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영남대학교 대학원에서 중국 명대 탁오 이지 연구로 동양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헤드라인 커뮤니케이션』 『한글로 통하는 논어』가 있으며, 논문은 「분서·속분서에 나타난 이지의 호학관 연구-공자 이해를 중심으로」(박사논문), 「출학의 정체-스피노자 지성개선론을 실마리로」(석사 논문), 「신문을 통한 철학의 대중화 호학의 관점에서 본 이지 분서의 문제의식」, 「이지에 관한 신문기사의 분석과 평가」 등이 있다. 동아일보 기자를 지냈다. 

책을 쓴 동기 | 공자와 논어의 ‘특별한’ 뉴스 가치

 

1편 일상 긍정(日常 肯定)

 

01 즐거움은 배움의 에너지, 학열(學說)

02 뜻을 함께 하는 즐거움, 붕락(朋樂)

03 나는 천하게 자랐다, 오천(吾賤)

04 삶이 죽음보다 우선, 지생(知生)

05 내 능력을 팔고 싶다, 대고(待賈)

06 효도의 바탕은 공경, 효경(孝敬)

07 전전긍긍하며 몸을 보존, 전긍(戰兢)

08 술을 적당히 즐기는 즐거움, 주불급난(酒不及亂)

09 좋아하는 일을 하는 즐거움, 종오소호(從吾所好)

10 의롭지 않은 부귀는 뜬구름, 불의부운(不義浮雲)

 

2편 개방적(開放的) 배움

 

01 전통을 부지런히 배우는 사람, 호고민구(好古敏求)

02 전통에서 창조력을 이끌어냄, 온고지신(溫故知新)

03 생활에서 절실히 묻고 생각함, 절문근사(切問近思)

04 보편적 교육을 통한 성장, 유교무류(有敎無類)

05 알고 싶어 애쓰는 태도, 분비계발(憤?啓發)

06 배움과 사색의 조화, 학사(學思)

07 지성의 진보에 대한 기대감, 후생가외(後生可畏)

08 즐기는 수준에 이르는 배움, 지호락(知好樂)

09 어디서나 가능한 배움, 필유아사(必有我師)

10 열린 태도로 배우는 데 민감함, 불치하문(不恥下問)

11 상식을 존중하는 배움, 이단해야(異端害也)

12 잘못을 고치는 데 머뭇거리지 않음, 과즉개(過則改)

13 나는 배우기를 좋아하는 사람일 뿐, 구호학(丘好學)

14 전통을 발전적으로 계승함, 술이부작(述而不作)

15 세상의 올바름에 대한 갈망, 조문석사(朝聞夕死)

16 논리적 가능성을 수렴하는 배움, 고양단(叩兩端)

17 막다름을 헤쳐나가는 배움, 곤학(困學)

18 독실한 믿음으로 배움을 추구, 독신호학(篤信好學)

19 보편성을 추구하는 배움, 군자불기(君子不器)

20 잘못을 솔직하게 인정하는 태도, 유과인필지(有過人必知)

21 자신을 채우는 실력이 우선, 환립(患立)

22 올바른 앎은 태도의 문제, 지부지지(知不知知)

23 먹는 것도 잊을 정도로 배움, 발분망식(發憤忘食)

24 배워서 알아야 면장, 정장면립(正牆面立)

25 좁고 얕고 막힌 태도를 벗어남, 무의필고아(毋意必固我)

26 자신을 돌아보며 본받는 노력, 현제(賢齊)

27 스스로 한계를 긋지 않는 태도, 금녀획(今女劃)

28 배우고 가르침에 게으르지 않음, 학회불염(學誨不厭)

29 마음을 졸이며 노력하는 배움, 학여불급(學如不及)

30 산을 만드는 성실한 노력, 위산일궤(爲山一?)

31 스스로 발전하기 위한 공부, 위기지학(爲己之學)

32 어려움을 이겨내는 노력, 고궁(固窮)

33 노력하는 습관으로 능력 차이가 생김, 습상원(習相遠)

 

3편 반듯한 사람됨

 

01 휩쓸리지 않고 주체성을 지킴, 화이부동(和而不同)

02 실천 없는 말은 부끄러움, 언출치궁(言出恥躬)

03 넘치는 말은 부끄러운 모습, 치언과행(恥言過行)

04 멀지만 엄중하게 가야 할 삶, 임중도원(任重道遠)

05 바른 삶은 외롭지 않음, 덕불고(德不孤)

06 주체적인 삶이 반듯함, 인부지불온(人不知不?)

07 멀리 내다보는 생각, 원려(遠慮)

08 하루하루 성찰하는 생활, 일삼성(日三省)

09 원인을 자기 자신에게서 찾음, 구저기(求諸己)

10 기본에 힘쓰는 자세, 무본(務本)

11 평생 조심해야 할 세 가지, 삼계(三戒)

12 뻔지르르한 언행을 삼감, 교언영색(巧言令色)

13 분노를 옮기지 않음, 불천노(不遷怒)

14 성실과 신뢰는 두루 통함, 언충신행독경(言忠信行篤敬)

15 신뢰를 주는 말, 인신(人信)

16 보편적 가치를 품는 태도, 회덕(懷德)

17 의식주가 불편해도 바른 길을 추구하는 선비, 사지(士志)

18 말은 신중하고 실천은 빠름, 눌언민행(訥言敏行)

19 언행은 신뢰와 결단이 중요, 언신행과(言信行果)

20 굳세고 소박하며 신중한 태도, 강의목눌(剛毅木訥)

21 일식 월식처럼 드러나는 허물, 과일월식(過日月食)

 

4편 공존적(共存的) 관계

 

01 신뢰가 있어야 설 수 있음, 무신불립(無信不立)

02 자신을 낮춰 올바름을 이룸, 살신성인(殺身成仁)

03 의로운 이익을 추구함, 유의(喩義)

04 좋아하고 싫어하는 감정의 조절, 오호찰(惡好察)

05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태도, 기욕물시(己欲勿施)

06 다른 사람을 세워주는 자세, 입인달인(立人達人)

07 의로움은 용기, 의용(義勇)

08 이익이 지나치면 원망을 낳음, 이행다원(利行多怨)

09 자신을 보편적 질서에 맞춤, 극기복례(克己復禮)

10 하나로 관통하는 바른 길, 일이관지(一以貫之)

11 자기 역할을 다하는 공동체, 군군부부(君君父父)

12 이름을 바르게 세움, 정명(正名)

13 정치는 세상의 올바름, 정자정야(政者正也)

14 의롭고 정당해야 하는 이익, 의리(義利)

15 세상의 평등과 평안을 걱정함, 환균(患均)

16 소송 없는 공동체의 꿈, 무송(無訟)

17 북극성을 닮아야 할 정치, 덕정(德政)

18 자신을 닦음은 편안한 세상의 출발점, 수기안인(修己安人)

19 부유하게 한 뒤에 가르침, 선부후교(先富後敎)

20 세대를 포용하는 자세, 안신회(安信懷)

21 다른 사람의 성장을 돕는 아름다움, 성인지미(成人之美)

22 부모-자식의 정직함, 부자은직(父子隱直)

23 속이지 말고 직언하는 자세, 물기범(勿欺犯)

24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않음, 질고(疾固)

25 세상의 올바름을 끈질기게 추구, 불가이위지자(不可而爲之者)

26 바른 질서를 만드는 진취적 노력, 지명(知命)

 

5편 심미적(審美的) 깊이

 

01 소나무와 잣나무의 한결같은 푸름, 송백후조(松柏後彫)

02 끊임없이 흘러가는 우주적 삶, 서자불사(逝者不舍)

03 가득해도 없는 듯한 모습, 실약허(實若虛)

04 중용은 일상의 지극한 힘, 중용위덕(中庸爲德)

05 억지로 하지 않는 다스림, 무위이치(無爲而治)

06 순수함, 사무사(思無邪)

07 넘치지 않는 감정, 불음(不淫)

08 사람다움의 결에 대한 확신, 회하감사(回何敢死)

09 무늬와 바탕의 조화, 문질빈빈(文質彬彬)

10 지나침과 모자람을 줄임, 과유불급(過猶不及)

11 싹이 열매로 이어지지 못하는 아쉬움, 묘이부실(苗而不實)

12 사람과 말을 잃지 않는 지혜로움, 실인실언(失人失言)

13 뗏목을 타고 바다에 떠 있는 심정, 부우해(浮于海)

14 말 없이 흐르는 우주자연, 천하언재(天何言哉)

15 세상의 바른길을 넓히는 주체성, 인능홍도(人能弘道)

16 탓하지 않고 실력을 쌓음, 하학상달(下學上達)

 

■ 공자의 삶 재검토 – 사마천 『사기(史記)』 「공자세가(孔子世家)」와 최술 『수사고신록(洙泗考信錄)』

■ 공자 ‘술이부작(述而不作)’의 근거로서 『詩(시)』와 『書(서)』

 

맺음말 | 진정한 뉴스메이커 ‘삶의 새로움’

 

·뉴스(기사) 인용 사례 출처 

뒤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