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과 사회과학 책들로 양가죽 도서목록 지갑을 살찌워 왔습니다.
책 소개
오랜 역사와 지역민의 삶을 담고 있는 우리말 땅이름이 지난 100여 년 동안 무수히 사라졌다. 이 책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을 거쳐 국립중앙도서관 학예연구사로 재직하면서 23여 년간 우리나라의 지명 정리 작업을 해온 저자가 그간의 축적된 자료와 경험, 문헌 기록을 비교 검토하여 잃어버린 우리말 땅이름을 펼쳐 보인다. 특히 ‘독섬’이 ‘독도’로 불리고 있는 까닭을 자세히 설명하여 우리말 땅이름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일깨운다.
이기봉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에서 태어나 수원 수성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학예연구사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고대도시 경주의 탄생』(2007), 『조선의 도시, 권위와 상징의 공간』(2007), 『지리학교실』(2008), 『평민 김정호의 꿈』(2010), 『조선의 지도 천재들』(2011), 『근대를 들어올린 거인 김정호』(2011), 『땅과 사람을 담은 우리 옛 지도』(2014), 『슬픈 우리 땅이름』(2016), 『천년의 길』(2016), 『임금의 도시』(2017), 『난 고3 아빠고 파이팅을 맡고 있어』(공저, 2018), 『우산도는 왜 독도인가』(2020), 『독도는 환상의 섬인가』(공저, 2020) 등이 있다.
차례
머리말
1. 100년 사이에 모두 사라진 행정마을의 이름
‘백애’가 어디인가
모든 행정마을의 이름이 바뀌다
어떤 원칙으로 한자를 표기했을까
일본인이 행정마을의 이름을 마음대로 바꾸었다?
한자 읽기와 순우리말 땅이름의 슬픈 현실
2. ‘독섬’이 ‘독도’로 불리고 있는 까닭은?
사라진 땅이름 ‘독섬’
‘독섬’을 찾아서
1882년 이전부터 새로운 땅이름이 만들어져 정착하다
시모조 마사오의 황당한 논리 비판
새로운 제안
3. 땅길을 오가던 길손의 푯말이 되었던 땅이름
『도로고』·『대동지지』·『대동여지도』
의주길 : 경기북부 장단읍내에서 서울까지
동래길 : 경기도 죽산읍내에서 서울까지
해남길 : 충청도 신창읍내에서 서울까지
평해길 : 강원도 원주읍내에서 서울까지
4. 물길 위에 새겨진 뱃사공들의 땅이름
모든 물자의 운송은 물길로
충주의 목계에서 여주의 읍나루까지
여주의 읍나루를 지나 양평의 두물머리까지
두물머리에서 서울 아래 용산과 삼개까지
강화에서 바닷배를 타고 삼개와 용산까지
5. 성저십리 서울의 순우리말 땅이름
남쪽에서 숭례문에 이르는 길
서남쪽에서 숭례문과 소의문(서소문)에 이르는 길
서쪽과 서북쪽에서 돈의문으로 들어오는 길
그 밖의 서쪽 성밖 순우리말 땅이름
남쪽에서 광희문에 이르는 길
동쪽에서 흥인지문에 이르는 길
6. 도성 안 서울의 땅이름 나들이
숭례문에서 세종대로사거리까지
돈의문에서 세종대로사거리까지
흥인지문에서 종각까지
종로3가사거리에서 창덕궁의 돈화문까지
소의문(서소문)에서 종각까지
광희문에서 숭례문 방향으로 가는 길
광희문에서 작은광교 방향으로 가는 길
청계천 위의 다리 이름 혜화문(동소문)에서 종로까지
경복궁과 창덕궁 사이 경복궁과 인왕산 사이
7. 고향의 잃어버린 땅이름을 찾아서
정겨운 내 고향의 순우리말 땅이름
또다른 정겨운 고향이름 ‘쌍학2리’
새로운 땅이름 ‘비봉면’
외가댁 ‘밧께’
비봉초등학교 친구들의 마을
수원에 통학하며 보았던 마을의 이름
별표-1: 순우리말 이름의 첫 번째 한자 표기에 나오는 獨의 사례(『한국지명총람』)
별표-2: 순우리말 지명에 ‘돌(石)’의 의미로 사용된 ‘독’ 사례(『한국지명총람』)
별표-3: 순우리말 ‘독’이 한자 ‘石’으로 표기된 사례(『한국지명총람』)
키워드:
순우리말 땅이름;독섬;독도;도로명주소이름;슬픈 우리 땅이름;호구총수(戶口總數);한국지명총람;울릉도외도